나르시시스트엄마 5

부모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기까지

나르시시스트의 자녀로 자라난다는 것은 생명이 도구화되는 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형체화 시킬 수 없는 인간적 가치는 모두 다 지워지고 나르시시스트의 도구로 전락한다. 부모의 가치를 드높일 수 없다면 그 아이에겐 어떤 평화도 허락되지 않는다. 내가 엄마가 내뱉은 말과 표정으로 처음 들이마신 혐오의 잔재는 내 뇌리 속에서 깊숙이 똬리를 틀어 내 사고의 모든 것을 제어하게 되었다. 자기혐오와 자책이 내 성정의 핵심이 되어 버리는 것이 cptsd의 주된 증상이다. 나르시시스트에게 지속되는 행복과 만족감은 아예 없기에 그들에게 모든 긍정적인 감정은 찰나의 순간에 불과하다. 그 감정도 자신의 자식을 비웃음 거리로 만들어 느끼는 희열이었고. 그런 순간순간 이용당했던 것을 나이가 들어 되짚어 보니 내 삶의 목적이 무엇..

CPTSD 회복 2022.05.14

두려움의 진화

어려서부터 성취, 성과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나와 비슷한 무리들을 따돌려 안정권 위치에 도달해야 하지 못한다면 도태되어 영영 일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공포였다. 평생을 시달리면서도 이해가 안 되었다. 일단 정신건강 관련 책에서 잘 이야기하는 주제도 아닌 데다가 이건 갓난아기 때부터 주입된 생각이라기엔 너무 사회화된 생각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어떻게 이런 모양을 갖췄는지 써보려고 한다. 이것과 관련된 최초의 기억은 초등학교 시절에 일어났다. 당시에 난 점수를 잘 받아왔다. 6년 내내 나는 90점대를 유지를 했는데 1, 2 학년 때는 100점도 줄 곧 잘 받아왔던 걸로 기억한다. 그 와중에 올백을 맞은 적도 있었으니 툭까 놓고 봐도 잘 하긴 잘했다. 내가 이런 아이의 엄마였다면 뷔페를 연달..

CPTSD 회복 2022.05.14

따돌림이 사춘기 학생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1

오랜 기간 동안 내가 극복했다고 믿었었던 학창 시절 은따의 영향이 서른 중반인 나이까지 그 마수를 뻗히고 있었다는 걸 뒤늦게 알게 되었다. 그리고 또 알게 되었다. 힘든 시기를 견뎌낸 것은 극복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사춘기 때 따돌림을 당했던 경험은 나에게 있어 사람을 믿지 못하는 거 말고도 남들과 나 자신을 비교하는 것에 집착을 하는 습관까지 만들고 나르시시스트 엄마한테 이미 밟힌 내 자존감을 더더욱 무너뜨리는 결과를 낳았다. 첫 번째 따돌림 나는 호주에 오자 마자 들어간 랭귀지 스쿨에서 자연스럽게 만난 한국 아이들에게서 한 달 만에 은따를 당했다. 그냥 하루는 학교에 가니 아무도 나에게 말을 안 걸고 말을 걸면 자리를 피했다. 랭귀지 스쿨에서 그렇게 하루아침에 사람들에게 배신감을 느낀 후 나는 의..

CPTSD 회복 2020.12.01

복합외상 자가 진단 키트 - CPTSD Questionnaire

나는 항상 나에게 문제가 있다고 느낀다. 나는 친구, 연애관계나 농도가 짙은 애정 행위를 할 때 어려움을 느낀다. 난 잠수를 탈 수 있다 (탄다). 나는 매사에 있어 경험을 할 때 몰입을 한다거나 온전히 즐기지를 못하고 대강 시간을 때우다 온다. (여행, 목적 성취, 쇼핑, 모임) 나는 우울이나 불안에 시달린다. 나는 온전한 즐거움을 느끼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자발적인 행동을 함에도 애로사항이 있다. 나는 (충격을 받았을때) 멍해지거나, 유체이탈을 하는듯한 경험을 한다거나 속이 텅빈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경제적이나, 인성, 사회 융화에 있어 큰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나를 자주 찾는다. (대책 없이 돈빌리러 온다거나, 도박 알코올 중독, 범죄 전과, 성격 파탄자들이 주위에 있냐는 말인 거 같다.) 맞고 ..

CPTSD 회복 2020.11.27

나르시시스트가 자녀에게 하는 학대

요새 상담을 하면서 새로이 머릿속에 각인되는 단어 조합이 있다. 바로 나르시시스트적 학대이다. 바로 나르시시스트와 깊은 관계를 맺는 것만으로도 학대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나는 이전까지는 자존감이 없다 못해 자기혐오가 있다 보니 정서적 학대라는 콘셉트 자체가 너무나 생소하게 들렸다. 육체적인 학대야 신문이며 텔레비전을 통해 파다하게 알려진다지만. 자녀 몸에 손을 한 번도 안 대고도 학대를 하는 게 과연 가능한가? 이게 말이 안 된다고 생각했다. 뭔가 나가 소통을 함에 있어 잘못 전달하고 오해의 소지를 제공했기에 나르시시스트들이 그런 것이 아닐까 그렇게 합리화를 하면서 나 자신에 탓을 돌린 셈이다. 게다가 불과 몇 주 전까지만 해도 나르시시스트들에게 그들의 가족이나 애인들이 고통받는 이유는 그들의 철저한 자..

CPTSD 회복 2020.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