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장애 3

삶의 의미

일전에 삶의 목적에 대한 생각을 하던 중 결국 다른 무수한 글들과 비슷한 종점에 도달한 적이 있다. 생명의 탄생이란 관점에서 봤을 때 인간의 출생에 있어선 어떠한 목적이 있다고는 볼 수 없다는 점. 출생에 대한 명분은 생명을 잉태하는 이에게는 존재할 수 있으나 ‘출생을 당하는’ 어린 생명의 입장에선 어떠한 이유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출생도 그저 자연의 섭리에 따른 해프닝 (incident)에 지나지 않는다. 심리 상담을 받으면서 선생님이 내 생각을 지배하는 삶의 테마는 무엇이라 정의를 해준적이 있는데 이때 들었던 말은 “너는 세상을 즐길 권리가 없다.”라는 문장이었다. 이는 틀린 말이 아니다. 지나치게 자기 절제적이고 금욕적이며 자기 혐오로 인한 분노를 자해에 가까운 기행으로 나 자신에게 표출하는..

CPTSD 회복 2020.11.27

Complex PTSD - CPTSD

나르시시스트적 학대를 당한 여성들은 흔히들 경계성 성격장애를 앓는 경우가 많다고는 하는데 나 같은 경우는 이 스테레오 타입에 부합하지 않는 사람이다. 나는 어찌 보면 C-PTSD라는 병명에 제일 부합하는 인물이다. 이것에 대해 내 성향이나 내가 평생 겪었던 증상을 나열해본다. 일단 나는 병적으로 남에게 의존하기를 기피하는 사람이다. 남에 의존을 너무 하는 나머지 상대방에게서 절연을 당한다기 보단 내가 먼저 외부인에게 질려 그들을 떠나는 경우가 흔했다. 남에게 감정적으로 의존을 하는 거 자체가 나에겐 허락이 되지 않은 거라 믿고 살던 시절이 있었던걸 보면 말이다. 이는 어려서 부터 엄마의 책임 전가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한데, 엄마 같은 나르시시스트들은 미성년 어린 자식에게도 자신의 감정에 대해 어떤 해답을..

CPTSD 회복 2020.11.26

Emotional Flashback

감정적 플래쉬백이란 인지능력이 발달되기 전의 유아시기에 트라우마에 처했을 때 (반복적, 지속적으로 학대에 노출되어 그 강도가 쌓아 올려진 발달적 트라우마) 그 당시의 상황이 전혀 이미지 되지 않아 기억 속에 떠오르지는 않지만 그 당시 느꼈던 감정만이 뇌리에 남아 반복되는 것을 뜻한다. 지속적인 학대 (폭력, 정서적인 강압, 방치)에 노출되면 이는 발달시기에 아이의 뇌 구조를 바꿔놓는다. 유아에겐 어른의 이런 부적절한 육아가 지속될 경우 자신의 삶이 위험에 노출될 것이고 이는 죽음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걸 본능적으로 느끼게 된다. 이때 자기 파멸에 대한 두려움 같은 감정만이 기억 속에 남게 되는 것이다. 나는 일단 전문가가 아니고 나 좋자고 철저히 이런 걸 겪는 환자 입장에서 이야기하는 거기 때문에 나의 ..

CPTSD 회복 2020.11.26